비트코인가격과 유로달러환율의 흐름비교 그리고 달러약세 원인과 경제적 효과

in #kr7 years ago (edited)

1. 비트코인가격과 유로달러환율의 흐름비교

비트코인을 비롯한 코인시장이 요즘 변동성이 너무 크고 향후 어디로 방향을 잡을 지 궁금해 하시는 분이 많을 것으로 사료되어 한국, 일본, 중국, EU와 미국의 환율을 비교한바 그 결과를 이번 글에서 올립니다.

아울러 달러약세의 원인과 경제적효과는 원론적인 것이긴하지만 간결하게 실었습니다. 아래의 그림 2개는 그림1)은 유로달러환율 일봉 Chart(2017.1월초 - 9월26일 현재)이며, 그림2)는 비트코인 일봉Chart(2017,1.1 - 9.26 현재)입니다.

그림1)유로달러환율 일봉챠트(2017. 1월 - 9월 26일 현재)

그림2)비트코인 일봉 챠트(2017.1.1 - 9.26 현재)

1-1. 우선 그림1)에서 보면,

동그라미A(1월 하순과 2월초) 그리고 3월하순 => 달러약세, 유로강세. 유로약세(달러강세)현상은 1월초순, 2월하순과 3월초순. 금년 1/4분기 1달러=1유로입니다.

동그라미 B(4월중순) => 달러강세, 유로약세. 네덜란드총선에서 극우세력이 참패(유로강세로 전환하는 변곡점).

동그라미 C(5월) => 달러약세, 유로강세. 5월 프랑스대선에서 강한 프랑스와 강한 유럽을 주창한 젊은 마크롱이 당선. 1달러=1.15유로(유로화 강세 지속)

동그라미 D(6월 말) => 달러약세, 유로강세. 드라기 유럽은행(ECB) 총재가 자산축소(Tapering) 시사 발언으로 유로가 약세에서 강세전환.

동그라미 E(9월) => 달러약세, 유로강세. 9/23 독일의 메르켈총리 4연임. 1달러=1.2∼1.3유로까지 예상. 유로화 강세는 향후 지속될 것으로 전망

1-2. 그림2)에서 보면,

동그라미A(1월초순) => 달러강세에서 약세전환 비트코인가격 급락(원화로 160만원하던 것이 80만 원대까지 반 토막). 그후 점진적으로 저점을 높이면서 상승.

동그라미 B(3월) => 달러약세, 유로강세로 비트코인 급락조정(원화 100만원초반까지).

동그라미C(5월) => 달러약세, 유로강세. 비트코인가격 1차 급등(원화로 480만원까지).

동그라미 D(7월중순) => 달러강세, 유로약세. 이벤트 즉 세그윗 문제로 비트코인가격 급락조정을 주고 곧바로 V자 급반등을 한 후 직전 저점수준에서 지지.

동그라미 E(8월) => 달러약세, 유로강세. 비트코인 캐쉬가 발단이 되어 비트코인가격 2차로 급등(원화로 550만원까지).

동그라미F(9월중순) => 달러약세, 유로강세. 비트코인가격 급락 후 회복진행 중. 독일의 메르켈총리 4연임. 지금은 비트코인가격이 이동평균 20일선 밑에 위치하고 있는 형국입니다.

1-3. 위 2개그림을 비교해 본 결과

비트코인가격은 원달러 환율, 엔달러환율, 위안달러환율 등과는 흐름이 유사성(상관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챠트흐름상 확인한바 있습니다. 그런데 유로달러환율과는 위 그림에서 비교한 바와 같이 흐름이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직접 한번 비교해보시면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 5월과 8월에는 비트코인가격이 2차례 급등하는데 유로화가 약세에서 강세로 전환하는 시기와 비슷하다는 것이 발견됩니다.

위 2개 그림의 비교흐름을 감안한다면 앞으로 달러약세, 유로강세가 전망되고 있는 만큼 비트코인 가격은 긍정적으로 보아도 될 것 같다고 봅니다.

2. 달러약세 원인과 경제적 효과

실제로 올해 달러는 추세적 약세를 지속하고 있는바 주요 6개국 통화에 대한 달러가치를 보여주는 미국 달러 Index는 92내외로 금년 초 대비 약 10% 떨어진 수준입니다.

전문가들은 달러의 반등은 짧고 달러약세 기조는 길게 유지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달러약세와 유로강세원인의 구체적인 내용은 이전 글 https://steemit.com/kr/@pys/3p3k3h 을 참조하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2-1. 달러약세 원인

  • 유럽의 경기회복과 극우세력 참패

그리스의 국채발행, PIIGS의 재정위기 극복, EU실업률은 9.1%로 200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 경기가 17분기 연속으로 성장을 지속하는 등 유럽경기가 완만하게 회복되면서 ECB(유럽중앙은행)가 출구전략을 진행하고 있는 점과

금년 3월 네덜란드 총선과 5월 프랑스대선에서 극우세력이 참패한바 있고 유럽연합의 맹주인 독일이 9/23총선에서 메르켈의 4연임이 확실해짐에 따라 유로화가 앞으로도 강세를 이어갈 공산이 커 상대적으로 달러약세 기조는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 America First와 경기부양책 선호

현재의 미국의 경제상황을 낙관적으로 보고 점진적인 금리인상과 자산매각 등을 추진하는 등 미국은 긴축기대감(달러강세요인)으로 장기금리 상승가능성이 높습니다만,

America First를 추구하면서 경기부양을 위한 통화정책(긴축완화)과 달러약세를 선호하는 트럼프가 자신과 비슷한 성향의 연준 인사인 비둘기파들을 임명할 가능성이 큰 것도 달러약세 전망을 지지하는 이유입니다.

미국을 비롯한 Global 경기가 화복세를 보이면서 주요국들이 원화를 비롯한 신흥국 통화 등의 위험자산 선호경향(외국인자금의 국내유입)이 강해질 경우에 원화가 Global 경기흐름과 연동해 강세로 돌아설 것입니다.

  • 경기회복기의 달러약세

과거의 경향을 보면 세계 경기회복원년의 달러 방향성(달러약세)과 이듬해 달러 방향성은 일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시말하면 세계의 경제성장이 바닥에서 Turn around할 때 달러 방향성(달러약세)은 2년차까지 이어진다는 것입니다.

유럽, 중국, 일본, 미국 등 전세계적으로 경기회복 기조가 확연하고 달러약세가 이어지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고려해 볼 때 내년에도 달러가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그만큼 크다는 분석입니다.

  • 외국인의 매도와 Global 핵위험

외국인이 보유주식을 차익실현 매도세에 따른 원 달러환율 상승과 북한의 미사일과 핵실험으로 인한 Global 위험인 지정학적 Risk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경향 으로 달러가 반등은 하고 있으나 단기적 측면이 강하고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합니다.

2-2. 달러약세의 경제적 효과

미국상품의 수출경쟁력은 강화되어 수출기업의 실적이 향상되고, 원자재가격이 상승하여 물가는 상승하며, 달러가치와 반대로 원화가치(평가절상, 환율하락)는 상승합니다.

국내 수입제품의 가격은 낮아집니다. 미국의 연준은 2019년까지 물가목표를 2%로 잡고 있습니다. 금리는 중립금리인 3%까지 상승할 것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성공투자 하세요. 감사합니다.

Sort:  

Cheer Up!

  • from Clean STEEM activity supporter

Thank you!

좋은 글 감사합니다. ^^

고맙습니다.

@pys 님의 유익한 글을 항상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pys님, 비트와 환율에 따른 흐름 분석 잘 보고 가네요..
감사하니다.

늘 고맙습니다

정말 빗코기격이 유러달러를 추종한다면 연준 의장에 매파가 유력해지고 자산축소도 시작돼서 걱정이네요. ecb도 하락이 반가운 상황이니ㅜㅜ

반드시 유로환율과 동행하는 것은 아닙니다. 2016년도 환율챠트와 한번 비교해보시면 이해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팔로우할게요.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0
BTC 71227.76
ETH 3816.97
USDT 1.00
SBD 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