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를 걷는 시간

김별아 지음 | 해냄 펴냄

도시를 걷는 시간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5,000원 10% 13,5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8.3.20

페이지

268쪽

#광화문 #역사 #열녀 #유래 #일상 #조선 #종로 #표석 #효자

상세 정보

지금의 서울은 과거에 어떤 모습이었을까?
서울 곳곳에 남겨진 조선 시대 삶의 모습

베스트셀러 <미실>의 김별아 작가가 서울 시내 곳곳에 위치한 조선시대 표석을 찾아가 과거의 자취와 현재 모습을 함께 풀어 쓴 책이다. 사대문 안팎에 놓인 조선시대 주요 국가 기관들과 당시 서민들이 살아낸 생생한 삶의 흔적들 32곳을 직접 찾아가며 문장에 담았다. 또한 충무공 이순신, 추사 김정희 등의 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표석이 품고 있는 다채로운 이야기를 풀어내어 독자들을 수백 년 전 서울로 초대한다.

작가는 '역사는 그저 과거가 아니라 어제와 오늘과 내일이 만나는 모든 순간'이라고 말한다. '수천 수백 년 전 바로 이곳에 살았던 사람들과 삶을 상상하며 그려내는 것'이 오늘날 우리가 과거를 바라보아야 하는 이유이자 올바르게 기억하는 법인 것이다. 이 책에는 표석을 둘러싼 주변 전경 사진을 함께 수록하여 독자들이 익숙한 공간에서 시간 저편의 삶을 떠올릴 수 있게 하였으며, 원고 말미마다 표석 위치를 명기하여 직접 찾아볼 수 있도록 도왔다.

총 5장으로 구성된 이 책 중 '1장 왕실의 그림자를 따라 걷다'에서는 왕실의 음악 교육을 담당했던 장악원, 단종 비 정순왕후의 비극적인 이야기가 담긴 정업원 등 왕실의 빛과 그림자를 엿볼 수 있게 하는 표석들을, '2장 오백 년 도시 산책'에서는 노비 문서를 보관하던 장예원, 탐관오리에 대한 형벌을 거행하던 혜정교 등 도시 곳곳에 스며 있는 삶의 애환을 담았다. '3장 삶의 얼굴은 언제나 서로 닮았다'에서는 소금 거래 기관인 염창, 도시의 치안을 관리한 포도청과 죄인을 수감하던 전옥서 등을 다뤘다.

'4장 사랑도 꿈도 잔인한 계절'에서는 왕실의 그림자처럼 지내야 했던 종친들을 관리하던 종친부와 조선 유교 사회의 효와 사랑의 모순을 담은 쌍홍문.운강대 등을, '5장 한 발자국 바깥의 이야기'에서는 안평대군, 영빈 이씨 등 역사의 중심에서 조금은 물러나 있는 인물들과 관련된 표석과 그 안의 삶을 들여다본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꼬작머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꼬작머리

@kkojakmeoriqwwj

비밀은 거짓말을 낳는다. 그 거짓말은 'lie'이기도 하지만 'fiction'일 수도 있다. 서민층의 집단 창작인 전설과 야사는 사실을 말하는 일이 통제될 때 발설할 수 없는 비밀을 말하는 특유의 방식으로 발전했다. 그때의 거짓말(fiction)은 분명 사실(fact)은 아니지만, 어쩌면 사실보다 더 진실(truth)에 가까운 거짓일지도 모른다. p.38
사람이 있으니 사랑이 있다. 아무러한 시대 아무러한 제도 속에서도 사람들은 삶의 증명처럼 사랑한다. 존천리 멸인욕(存天理 滅人欲), 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없애야 한다고 공공연하게 주장하던 유학의 세상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유교 예법의 이론과 실제를 풀이한 경전인 『예기』에서는 무려 "혼인은 절대 축하할 일이 아니다"고 하여 사랑 때문에 효심이 시들 것을 경계했으니, 부부유별(夫婦有別)의 도리에 포박된 사랑은 엉뚱한 대용품을 찾기에 이르렀다. p.99-100
그런데 표석을 확인하고 돌아온 후 인터넷 검색을 통해 50년째 극장 앞에서 신문 가판대를 운영하면서 30년 전부터 표석을 돌보았다는 '이순신 할머니' 이점임 씨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이정임 씨는 "이순신 할아버지가 목숨을 걸고 나라를 지켰는데 시민들이 그가 태어난 자리를 너무 소홀히 하는 것 같아 그냥 볼 수 없어" 표석을 청소하고 돌보기 시작했다고 한다. 미리 알지 못해 할머니의 컨테이너박스를 찾아보지 못한 게 아쉽다. 그래도 하나는 다시금 확인한다. 진정한 기억은 기념물이 아니라 사람에 의해 지켜진다는 사실. p.126-127
아픈 사람은 외롭다. 병자는 아픔으로 고독해진다. 고통은 어느 누구와도 나눠 가질 수 없는 자기만의 것이다. 사랑도 동정이나 연민도 고립된 고통을 온전히 이해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아픔을 이해하고 나눌 수 있는 이가 있다면 그는 같은 고통을 겪어본 사람이다.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는 동병상련(同炳相憐)이야말로 슬프고도 아름다운 진실의 말이다. 크든 작든, 중하든 경하든, 나 자신이 겪었든 가족이나 친구가 겪었든 아프지 않고 일평생을 살 수는 없기에 아픔으로써 아픔을 이해해야 마땅하리라. p.238
역설적이지만 어쩌면 순진성도 오만에서 비롯되는 것일지 모른다. 자신이 팔난봉인 형 양녕대군을 끌어안았듯 자식들도 호학(好學)과 애민(愛民)과 형제애로 순수하게 나랏일에 동참하는 것이라고 확신했는지 모른다. 믿음이야말로 강력할수록 교만해지고 교만할수록 단순해진다. 아버지와 삼촌들이 어떻게 혈투를 벌였는지 모를 리 없었을 텐데도 말이야. p.252
문학과 역사와 철학, 이른바 '문사철'로 통칭되는 인문학의 분과는 인간 조건을 탐구하고 인간 문제를 다룬다. 인간의 생애는 3무(無)라 했다. 공짜, 비밀, 정답이 없다고 그중에서도 세 번째, 정답이 없다는 것이 인문학의 본질과 통한다.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가? 어떤 삶이 좋은 삶이고 무엇이 진정한 행복인가? 진실은 있는가? 있다면 그것은 영원히 변하지 않을 것인가? 답을 찾아 헤매는 동안 답이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어쩌면 그것이 삶일 테다. "모든 이론은 회색이고 영원한 건 오직 푸르른 생명의 나무뿐"이라는 『파우스트』의 글귀가 통렬하다. p.255

도시를 걷는 시간

김별아 지음
해냄 펴냄

읽었어요
2020년 12월 20일
0
대여하기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베스트셀러 <미실>의 김별아 작가가 서울 시내 곳곳에 위치한 조선시대 표석을 찾아가 과거의 자취와 현재 모습을 함께 풀어 쓴 책이다. 사대문 안팎에 놓인 조선시대 주요 국가 기관들과 당시 서민들이 살아낸 생생한 삶의 흔적들 32곳을 직접 찾아가며 문장에 담았다. 또한 충무공 이순신, 추사 김정희 등의 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표석이 품고 있는 다채로운 이야기를 풀어내어 독자들을 수백 년 전 서울로 초대한다.

작가는 '역사는 그저 과거가 아니라 어제와 오늘과 내일이 만나는 모든 순간'이라고 말한다. '수천 수백 년 전 바로 이곳에 살았던 사람들과 삶을 상상하며 그려내는 것'이 오늘날 우리가 과거를 바라보아야 하는 이유이자 올바르게 기억하는 법인 것이다. 이 책에는 표석을 둘러싼 주변 전경 사진을 함께 수록하여 독자들이 익숙한 공간에서 시간 저편의 삶을 떠올릴 수 있게 하였으며, 원고 말미마다 표석 위치를 명기하여 직접 찾아볼 수 있도록 도왔다.

총 5장으로 구성된 이 책 중 '1장 왕실의 그림자를 따라 걷다'에서는 왕실의 음악 교육을 담당했던 장악원, 단종 비 정순왕후의 비극적인 이야기가 담긴 정업원 등 왕실의 빛과 그림자를 엿볼 수 있게 하는 표석들을, '2장 오백 년 도시 산책'에서는 노비 문서를 보관하던 장예원, 탐관오리에 대한 형벌을 거행하던 혜정교 등 도시 곳곳에 스며 있는 삶의 애환을 담았다. '3장 삶의 얼굴은 언제나 서로 닮았다'에서는 소금 거래 기관인 염창, 도시의 치안을 관리한 포도청과 죄인을 수감하던 전옥서 등을 다뤘다.

'4장 사랑도 꿈도 잔인한 계절'에서는 왕실의 그림자처럼 지내야 했던 종친들을 관리하던 종친부와 조선 유교 사회의 효와 사랑의 모순을 담은 쌍홍문.운강대 등을, '5장 한 발자국 바깥의 이야기'에서는 안평대군, 영빈 이씨 등 역사의 중심에서 조금은 물러나 있는 인물들과 관련된 표석과 그 안의 삶을 들여다본다.

출판사 책 소개

일상 그리고 역사, 서울의 시간들을 거닐다
소설가 김별아, 조선시대 표석에 담긴 삶의 모습을 통해
오늘의 무심한 일상을 깨운다


1394년 조선의 정궁이 옮겨진 뒤 줄곧 수도의 자리를 지켜온 곳이 서울임을 헤아려볼 때, 지금의 일상적인 공간들이 그때의 사람들에게도 삶의 터전이었음을 떠올리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바삐 흘러가는 생활 속에서 지난 시간을 가만히 상상해보면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까?
베스트셀러 『미실』의 김별아 작가가 서울 시내 곳곳에 위치한 조선시대 표석을 찾아가 과거의 자취와 현재 모습을 함께 풀어쓴 『도시를 걷는 시간』을 출간한다. 월간 《전원생활》에 2016년 6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19개월간 연재된 원고로, 작가는 사대문 안팎에 놓인 조선시대 주요 국가 기관들과 당시 서민들이 살아낸 생생한 삶의 흔적들 32곳을 직접 찾아가며 문장에 담았다. 또한 충무공 이순신, 추사 김정희 등의 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표석이 품고 있는 다채로운 이야기를 풀어내어 독자들을 수백 년 전 서울로 초대한다.
작가는 ‘역사는 그저 과거가 아니라 어제와 오늘과 내일이 만나는 모든 순간’이라고 말한다. ‘수천 수백 년 전 바로 이곳에 살았던 사람들과 삶을 상상하며 그려내는 것’이 오늘날 우리가 과거를 바라보아야 하는 이유이자 올바르게 기억하는 법인 것이다. 이 책에는 표석을 둘러싼 주변 전경 사진을 함께 수록하여 독자들이 익숙한 공간에서 시간 저편의 삶을 떠올릴 수 있게 하였으며, 원고 말미마다 표석 위치를 명기하여 직접 찾아볼 수 있도록 도왔다.
총 5장으로 구성된 이 책 중 ‘1장 왕실의 그림자를 따라 걷다’에서는 왕실의 음악 교육을 담당했던 장악원, 단종 비 정순왕후의 비극적인 이야기가 담긴 정업원 등 왕실의 빛과 그림자를 엿볼 수 있게 하는 표석들을, ‘2장 오백 년 도시 산책’에서는 노비 문서를 보관하던 장예원, 탐관오리에 대한 형벌을 거행하던 혜정교 등 도시 곳곳에 스며 있는 삶의 애환을 담았다. ‘3장 삶의 얼굴은 언제나 서로 닮았다’에서는 소금 거래 기관인 염창, 도시의 치안을 관리한 포도청과 죄인을 수감하던 전옥서 등을 다뤘다. ‘4장 사랑도 꿈도 잔인한 계절’에서는 왕실의 그림자처럼 지내야 했던 종친들을 관리하던 종친부와 조선 유교 사회의 효와 사랑의 모순을 담은 쌍홍문?운강대 등을, ‘5장 한 발자국 바깥의 이야기’에서는 안평대군, 영빈 이씨 등 역사의 중심에서 조금은 물러나 있는 인물들과 관련된 표석과 그 안의 삶을 들여다본다.
작가는 세심한 시선으로 표석을 따라가며 시간의 무게에 묻혀 있던 수많은 이야기를 독자들에게 펼쳐 보인다. 그 여정을 함께하다 보면 무심했던 공간에도 의미가 더해져 새로운 이야기를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FLYBOOK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