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포구락무 ()

목차
무용
작품
문화재
경상남도 진주 지방의 교방에서 추어지던 일종의 놀이춤.
목차
정의
경상남도 진주 지방의 교방에서 추어지던 일종의 놀이춤.
내용

채구(용알·공)를 포구문의 풍류안(風流眼)에 던져 넣은 놀이를 음악과 무용으로 형상화한 궁중가무의 하나이다.

이 춤의 내력은 고종때 진주부사를 지낸 정현석(鄭顯奭)의 교방가요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궁중문화가 지역화된 춤이다. 궁중가무가 지방교방으로 내려오면서 의상·도구·절차 등에서 변화한 것으로 점차 민속적 요소가 가미되면서 진주 지역의 특색 있는 놀이로 전승되고 있다.

이 춤의 구성과 내용은 중앙에 포구문을 중심으로 축의 편싸움 형식으로 진행되는데 세령산, 타령, 잦은타령의 장단에 평사위, 쌍어리, 절화무, 회수무, 팔수무 등을 즉 두편이 갈라서 추어지는데 좌·우 순서로 한쌍씩 차례로 마주서서 주악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다가 오른손에 갖고 있는 채구를 던져서 풍류 안에다 넣으면 지화자를 부르고 명중시킨 사람이 나아가 앉으면 봉화(奉花)가 삼지화(三枝花)를 머리에 꽂아준다.

만약 넣지 못하면 봉필(奉筆)은 벌로 얼굴에다 먹점을 그린다. 차례대로 공을 던져 승부를 결정하고 나면 전원이 포구문을 돌면서 지화자를 부르고 자리로 되돌아간다. 창자(唱者)가 나와 선비가를 부르면 무용수들은 춤을 추며 후렴을 받는다. 전원이 수장창(收場唱)을 부르며 퇴장한다.

장단은 주로 염불도드리, 타령에 의해 진행되고 악사는 7명(박 1, 대금 1, 피리 2, 해금 1, 북 1, 장고 1)과 창자 2명으로 구성된다. 이 춤의 예능보유자인 정금순(鄭今順), 후보 김행자(金幸子)의 봉필 박설자(朴雪子)의 창(唱)제씨가 중심이 되어 회원 60여 명과 함께 전승되어오고 있다. 1991년 경상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한국춤총론』(김온경 외1인, 두손컴, 2016)
「진주 포구락 연구」(정진욱,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집필자
최은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