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대형 해운사 수도권 밀집·녹색기후기금과 시너지 효과…최적의 입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 중 하나인 '(가칭)한국해양선박금융공사 설립'이 해양산업계의 주목을 받으면서 인천이 유치전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금융 지원 수혜자인 대형 해운사들이 수도권에 밀집해 있는 데다 인천에 있는 유엔 녹색기후기금(GCF)과의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어 최적의 입지 조건을 갖췄다는 이유에서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8일 "한국해양선박금융공사 설립을 위한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며 "선박금융공사가 해양산업 금융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면서도 추가로 어떤 기능을 해야 할 지 파악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선박금융공사가 들어설 지역에 대해선 "대통령이 부산지역 공약으로 공사 설립을 약속한 것으로 아는데 그렇다고 공사가 반드시 부산에 설립돼야 하는 것은 아니다"며 "우선 설립안이 결정돼야 입지 검토·선정 단계로 넘어갈 수 있으며 현재로선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전북 군산시 새만금 신시광장에서 열린 '바다의 날 기념식'에서 "해운·조선산업의 금융 지원을 위해 한국해양선박금융공사를 설립하겠다"고 피력했다.

선박금융공사가 부산에 반드시 들어서야 한다는 부산지역에선 문 대통령의 발언이 전북에서 나온 것을 두고 공사 입지와 관련해 '경우의 수'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제기하고 있다.

부산지역 인사들은 그 동안 해양금융종합센터, 한국해양보증보험, 캠코선박운용 등 해양금융 클러스터가 조성돼 있는 부산이 최적 입지라는 주장을 펴왔다.

이런 상황에서 인천이 신설될 선박금융공사를 유치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대형 해운사를 회원으로 둔 한국선주협회에 따르면 서울에 본사가 있는 해운사는 119개사로 부산(44개사)의 배가 넘는다.

실질적 금융 지원 혜택을 받아야 하는 고객이 수도권에 밀집해 있으니 인천이 부산에 비해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다.

해운·조선산업의 경쟁력 확보 측면에서도 인천이 최적의 장소로 꼽힌다.

현재 인천엔 국제금융기관인 GCF를 비롯 유엔 아태경제사회위원회(UN ESCAP) 등 여러 국제기구가 있어 국제금융시장 동향과 주요 이슈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 속에 경쟁력을 키울 수 있다는 것이다.

인천항만업계 한 관계자는 "선박금융공사의 주 고객인 대형 해운사들이 수도권에 밀집해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인천이 최적의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면서 "인천신항 개장 이후 선사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차원에서라도 인천이 유치전에 뛰어들 자격이 있다"고 말했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eh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