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낡은 이념에서 벗어나 정의로운 진보 보수로 경쟁해야”

2018.04.03 10:58 입력 2018.04.03 11:55 수정

· 70주년 4·3 추념식 참석해 현직 대통령으로 세번째 국가차원 사과
· “4·3 진실을 기억하고 드러내는 일 민주주의와 평화, 인권의 길”
· “진상규명·명예회복 중단·후퇴 없을 것” 배·보상 등 완전한 해결 다짐

문재인 대통령은 3일 제주 4·3에 대해 “불행한 역사를 직시하는 것은 나라와 나라 사이에서만 필요한 일이 아니다. 우리 스스로도 4·3을 직시할 수 있어야 한다. 낡은 이념의 틀에 생각을 가두는 것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또 문 대통령은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어 현직 대통령으로는 세번째로 국가폭력에 학살된 4·3 희생자와 유족들에게 사과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어 현직 대통령으로는 두 번째로 4·3 추념식에 참석해 “아직도 낡은 이념의 굴절된 눈으로 4·3을 바라보는 사람들이 있다. 아직도 대한민국엔 낡은 이념이 만들어낸 증오와 적대의 언어가 넘쳐난다”며 이같이 밝혔다.

무고한 양민들이 학살된 지 7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진실이 규명되지 못한 4·3의 현실을 ‘이념’과 ‘종북’의 망령에서 벗어나지 못한 한국 사회의 자화상으로 본 것이다.

문 대통령은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어 현직 대통령으로는 3번째로 사과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4·3의 진실을 기억하고 드러내는 일이 민주주의와 평화, 인권의 길을 열어가는 과정임을 알게 되었다”며 “국가 폭력으로 말미암은 그 모든 고통과 노력에 대해 대통령으로서 다시 한 번 깊이 사과드리고, 또한 깊이 감사드린다”고 고개숙였다.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4·3 평화공원에서 진행된 제70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마친 뒤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4·3 평화공원에서 진행된 제70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마친 뒤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2000년 김대중 정부의 4·3 진상규명특별법 제정과 4·3위원회 구성, 노무현 전 대통령의 4·3 위령제 첫 참석과 국가의 책임 인정·사과의 토대 위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4·3의 완전한 해결을 향해 흔들림 없이 나아갈 것을 약속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4·3의 완전한 해결이야말로 제주도민과 국민 모두가 바라는 화해와 통합, 평화와 인권의 확고한 밑받침이 될 것”이라며 “4·3의 진실은 어떤 세력도 부정할 수 없는 분명한 역사의 사실로 자리를 잡았다는 것을 선언한다. 국가권력이 가한 폭력의 진상을 제대로 밝혀 희생된 분들의 억울함을 풀고 명예를 회복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어 “더 이상 4·3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이 중단되거나 후퇴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이를 위해 희생자 유해발굴 사업, 유족과 생존자들에 대한 배·보상, 국가트라우마센터 건립 등을 국회와 논의하겠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4·3의 명예회복은 화해와 상생, 평화와 인권으로 나가는 우리의 미래”라며 “이제 그 가치는 한반도의 평화와 공존으로 이어지고, 인류 전체를 향한 평화의 메시지로 전해질 것”이라고 했다. 또 “항구적인 평화와 인권을 향한 4·3의 열망은 결코 잠들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대통령인 제게 주어진 역사적인 책무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오늘의 추념식이 4·3영령들과 희생자들에게 위안이 되고, 우리 국민들에겐 새로운 역사의 출발점이 되길 기원한다”며 “제주에 봄이 오고 있다”는 말로 추념사를 맺었다.

추념식은 4·3 항쟁 생존자와 유족 등 1만5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슬픔에서 기억으로, 기억에서 내일로’라는 주제로 치러졌다. 문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행방불명인 표석 및 위패 봉안실을 방문해 술잔을 올리고 4·3 영령을 추모하는 것으로 제주 방문 일정을 시작했다. 부인 김정숙 여사도 동행해 4·3을 상징하는 동백꽃을 헌화했다.

추천기사

기사 읽으면 전시회 초대권을 드려요!

화제의 추천 정보

    오늘의 인기 정보

      추천 이슈

      내 뉴스플리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