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화려하게 취임한 최경희 총장, 130년 역사상 첫 불명예 퇴진(종합)

송고시간2016-10-19 21:01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임기 도중 퇴진은 1886년 이대 설립 이후 처음

'해방이화, 비리척결'
'해방이화, 비리척결'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정권의 '비선 실세'로 지목된 최순실씨의 딸이 특혜 입학했다는 의혹에 휩싸인 이화여대 최경희 총장이 사퇴한 19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특혜입학 비리해명 등을 촉구하며 이화여대 교수들을 비롯한 학생들이 행진을 하고 있다.
2016.10.19
mon@yna.co.kr

(서울=연합뉴스) 안홍석 기자 = 본관 점거농성 사태에 특혜 입학 의혹까지 더해져 19일 전격 사임한 이화여대 최경희 총장은 이 대학 첫 불명예 퇴진 총장으로 남게 됐다.

이대 과학교육과를 졸업한 최 총장은 같은 대학 교육대학원에서 교육학 석사, 미국 템플대(Temple University) 대학원에서 물리학 석사, 과학교육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4년 모교의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교수로 부임했고 이 대학 학생처장, 연구처장, 산학협력단장 등을 역임했다.

2006∼2008년에는 노무현 정부 대통령 교육문화비서관을 역임했으며 2014년에는 박근혜 대통령직속통일준비위원회 통일교육자문단 자문위원을 맡았다.

최 총장은 2014년 8월 각종 기록을 갈아치우며 화려하게 제15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52세에 총장 자리에 오른 그는 1980년 이후 이 대학 역대 최연소 총장이었으며 역사상 4번째로 젊은 총장이기도 했다.

이전까지는 법학, 신학 출신 위주로 총장을 선출한 이대에서 처음으로 공대 출신 학장이 된 점도 주목받았다.

최 총장은 취임 1년 만에 신산업융합대학을 신설하고 올해 들어서는 교육부의 재정지원사업인 프라임(산업연계교육활성화) 사업과 코어(인문역량강화) 사업 선정으로 80억원의 지원금을 타내는 등 성과를 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동의를 충분히 얻지 않고 일방적으로 각종 사업을 강행한 것이 최 총장의 발목을 잡았다.

잠복하던 학생과 일부 교수들의 불만은 평생교육 단과대학(미래라이프대학) 설립 계획이 알려지면서 결국 폭발했다.

학생들은 지난 7월 28일 미래라이프대학 사업 철회를 요구하며 본관 점거에 돌입했다. 최 총장이 사업을 철회하겠다고 밝혔으나 농성은 80일 넘게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야권이 '비선 실세'로 지목한 최순실씨의 딸이 이 대학에 부정 입학했으며 학사 관리에서도 지속적인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은 최 총장에게 결정타가 됐다.

결국, 최 총장은 4년 임기를 절반 정도만 채운 채 자리에서 물러났다. 1886년부터 시작된 이대 역사에서 총장이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불명예 퇴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 총장은 "입시와 학사관리에 있어 특혜가 없었으며 있을 수도 없음을 분명히 말씀드린다"면서 "이번 학내 사태로 인해 구성원들이 더는 분열의 길에 서지 않고 다시 화합과 신뢰로 아름다운 이화 정신을 이어가자는 취지에서 총장직 사임을 결정하게 됐다"고 사퇴 이유를 밝혔다.

이화여대 최경희 총장[연합뉴스 자료사진]
이화여대 최경희 총장[연합뉴스 자료사진]

ahs@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