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청와대 5자 회동으로 ‘교과서 블랙홀’ 빠져나와야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0월 21일 00시 00분


코멘트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 원내대표가 22일 청와대에서 만나기로 했다. 박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여야 지도부를 만나는 건 올해 3월 중동 4개국 순방 결과 설명을 위한 김무성 새누리당,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의 3자 회동 이후 7개월여 만이다. 이번 회담에서 박 대통령은 미국 방문 성과 설명과 시급히 처리돼야 할 개혁 법안에 대한 국회 차원의 협조를 구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새정치연합은 국사 교과서 국정화 저지에 화력을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회동 주체와 형식을 놓고 한때 문 대표가 대통령과 여야 당대표의 ‘3자 회동’을 역제안하고 국정화 문제를 안건에 추가할 것을 요구해 난항을 겪었다. 그러나 문 대표가 ‘5자 회동’을, 청와대는 폭넓게 의제를 수용함으로써 회동이 성사된 것은 ‘대화 정치의 복원’이라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다.

국정화를 둘러싼 여야의 거친 공방으로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동개혁 법안과 경제활성화 법안,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안, 내년 예산안 심의가 제대로 이뤄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번 회동에서도 야당이 국정 교과서는 친일·독재 미화의 음모라는 주장만 되풀이하고 청와대도 야당에 일방적인 협조 요구만 한다면 ‘빈손 회담’에 그칠 공산이 크다.

박 대통령은 국사 교과서 국정화의 필요성을 설득하면서 야당이 우려하는 친일·독재 미화는 결코 없을 것임을 야당 지도부에 약속할 필요가 있다. 문 대표도 근현대사와 관련해 좌편향과 오류 왜곡이 적지 않은 교과서를 어떻게 바로잡을 것인지 구체적 대안을 제시하며 접점을 모색해야 한다. 노동개혁 법안에 관해서도 반대만 할 게 아니라 최소한의 합의점을 도출하려는 의지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 그래야 모처럼 조성된 대화 분위기를 바탕으로 여야 정치권도 ‘교과서 블랙홀’에서 빠져나올 수 있을 것이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