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규제샌드박스 도입
전국 기술개발 나섰는데
시, 車관련 예산 겨우 7억
정부가 자율주행차 신기술 실험이 가능하도록 '규제샌드박스'를 도입하기로 하면서, 자율주행차 주도권을 놓고 자치단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그러나 인천은 자율주행차 인프라 구축에 다소 소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5일 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규제혁신을 통해 2020년까지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하고, 5년간 35조원을 투자해 미래차 산업 육성에 속도를 높이겠다고 발표했다.

자율주행차에 규제샌드박스가 도입되면, 자율주행차 활용 서비스와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규제가 사라지고 무인 자율주행 택시 등의 시범운영이 가능해져 지역 기업의 기술개발이 가속화될 수 있다.

일부 지자체들은 이미 자율주행차 인프라 강화 방안을 구상하고, 실증도로 구축사업에 나서고 있다.

경기도 화성은 국토교통부로부터 약 110억원을 지원받아 32만㎡ 규모로 자율주행차 실험 가상도시 K-City를 올해 말까지 조성한다.

대구는 지난해까지 2127대였던 전기차 보급 대수를 2020년에 5만대까지 늘리고, 15㎞의 자율주행 실증도로를 조성해 2021년 마무리할 계획이다. 국비 779억원 포함한 1433억원을 투입해 자율주행 9개 핵심부품도 개발하기로 했다.

이밖에 강원도는 평창올림픽 기간 서울부터 대관령 톨게이트까지 200㎞ 구간에서 차량이 스스로 운전하는 4단계 자율주행기술을 선보이기로 했으며, 제주도는 넥센테크를 통해 전기차 자율주행 플랫폼을 개발하고 기술력을 시험할 예정이다.

그러나 인천의 자율주행차 인프라 구상과 정부 지원은 타 시·도에 비해 뒤처지고 있다.

송도국제도시는 스마트시티를 중심으로 정부의 자율주행차 실험도시 고려 대상으로도 꼽히고 있지만, 막상 올해 인천시의 자동차 관련 예산은 자동차부품산업 육성 관련 7억원이 전부다.

올해 인천의 전기자동차 보급 계획도 지난해 358대보다 소폭 확대한 610대에 그친다.

이에 따라 지역에도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 기술개발을 위한 기반시설과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관계자는 "인천에 상당 규모의 자동차 및 부품 기업이 운영되고 있는 만큼, 인천도 송도국제도시의 스마트시티를 활용해 자율주행차 실증준비가 시작돼야 한다"고 말했다.

/신나영 기자 creamyn@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