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 주의·위험진입' 5년새 2배 정도 증가
``````````````````````````````````````````````6.png
저출산과 초고령사회 진입이 가속화됨에 따라 인천 내 소멸 주의 지역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5년 사이에 대상지가 2배 이상 늘어났다.

5일 인천발전연구원이 공개한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지역소멸 대응방안 연구' 보고서를 살펴보면 2005년 기준 소멸위험지수 1.0 이상인 소멸 저위험 지역은 112개소, 소멸위험지수 1.0 미만인 소멸 주의 지역은 9개소, 소멸위험지수 0.2 미만인 소멸 고위험 지역은 10개소로 나타났다.

소멸 고위험 지역은 강화군 교동면, 삼산면, 서도면, 송해면, 양도면, 양사면, 하점면, 하동면, 옹진군 덕적면, 자월면 등 면지역으로만 이뤄졌다.

2010년에는 소멸 주의 지역이 원도심지역인 중구, 동구, 남구로 확대됐다.

가장 최근 수치인 2015년 인천시 소멸위험지수는 더욱 심각하다.

소멸 저위험 지역은 91개소, 소멸 주의 지역 31개소, 소멸 위험 진입 지역 16개소, 소멸 고위험 지역은 11개소로 집계됐다.

2010년 대비 소멸 주의 지역과 소멸 위험 진입 지역이 약 2배 이상 증가한 셈이다.

남구 10개동, 부평구 5개동, 남동구 및 서구 2개동이 소멸 주의 지역으로 분류됐고 중구 4개동, 동구 3개동, 남구 1개동이 소멸 위험 진입 지역으로 나타났다.

소멸위험지수란 20~39세 가임여성 인구수를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로 나눈 지표를 말한다. 수치가 낮을수록 인구감소로 인해 소멸위험이 높은 지역으로 분류된다.

고령인구는 늘어나지만 20~30대 가임 여성이 줄어드는 인구 축소 현상이 배경으로 깔린다.

2015년 기준 인천의 65세 고령인구는 30만5511명으로 2000년 13만6654명 대비 123.6% 증가했다.

반면 2015년 기준 가임여성인구는 39만4287명으로 전체 인구의 14%를 차지한다. 이는 2000년 45만115명 대비 12.4% 감소한 수치다.

해당 연구를 진행한 윤혜영 인천발전연구원 도시기반연구실 연구위원은 시의 대응 방안으로 ▲지역별 균형을 위한 정책 확대 ▲도서지역 정주환경 및 교통여건 개선을 통한 방문 증가 유도 ▲신규 개발 지역 성장관리를 통한 브랜드 가치 강화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 강화 등을 제시했다.

/곽안나 기자 lucete237@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