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새정치연합의 지리멸렬 암담하다

말 그대로 지리멸렬이다. 130석의 거대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정당’이라고 운위하기에도 낯뜨거운 난맥을 드러내고 있다. 박영선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세월호특별법 1·2차 협상 실패에 이어 비대위원장 영입 과정에서 리더십 빈곤을 여지없이 드러냈다. 유족들과의 기본적 공감도 없이 세월호특별법을 합의해주는 패착을 연거푸 저지른 것도 모자라, 정체성 논란을 야기할 게 뻔한 비대위원장 영입을 독단으로 결정해 밀어붙이려다 좌초했다. ‘나쁜 결과’에 대한 책임을 놓고도 ‘박영선 탄핵’과 박 위원장의 ‘탈당 불사’가 파열하는 막가는 상황을 연출하고 있다.

사태를 이 지경에 이르게 한 일차적 책임은 박 위원장에게 있다. 박 위원장은 결국에는 번복된 두 차례의 세월호특별법 합의, 비대위원장 영입 추진을 통해 본인의 리더십은 물론 당에 치명상을 입혔다. 세월호특별법 협상 당시 당내 의견 수렴은 물론 세월호 유족들과의 공감과 소통도 하지 않았다. 비대위원장 영입 과정에서도 일부 계파 보스와의 ‘밀실 협의’는 있었을망정, 당내 여론 등은 안중에 없이 강행하려 했다. 박 위원장이 밀어붙인 세월호특별법 합의안이 두 번이나 좌초됨으로써 야당의 신뢰도를 바닥으로 떨어뜨린 과오를 망각한 결과다. 박 위원장의 리더십은 돌이키기 힘든 상처를 입었고, 비대위원장으로서 당을 이끌고 혁신을 추동할 동력도 상실했다. 비대위원장과 원내대표의 분리든, 새 원내대표를 선출해 비대위원장을 맡기든, 조기 전당대회를 치르든, 지도부 문제를 정비하는 일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제1야당의 리더십이 재건되지 않으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세월호특별법 협상, 국회 정상화를 기대할 수 없다.

심각한 것은 박 위원장의 거취를 정리하는 것으로 새정치연합의 혼돈이 정리될 수 있느냐는 것이다. 대선 후보를 비롯해 당내 중진들이 이번 국면에서 보여준 행태는 무책임하기 짝이 없다. 문재인 의원은 ‘이상돈 비대위원장’에 적극적 동의를 해놓고 막상 논란이 일자 관전했고, 뒤늦게 “무산돼 아쉽다”고 말한다. 다른 중진들 역시 계파적 이해와 차기 당권 득실을 계산하며 지도부를 나무에 올려놓고 흔들기에 급급했다.

본인도 물러나겠다고 했다니 박 위원장의 퇴진은 시간문제이다. 7·30 재·보선 참패 후 신뢰받는 정당, 수권정당으로 거듭나겠다며 꾸린 비상대책위마저 실패로 돌아가면서 새정치연합의 추락이 어디에까지 다다를 것인지, 가늠조차 안된다. 야당으로서 존재 의의조차 잃어가는 새정치연합이 궁극에 ‘정당 정치’의 파탄을 재촉하고 있는 것 같아 참으로 암담하다.


Today`s HOT
아르메니아 대학살 109주년 중국 선저우 18호 우주비행사 가자지구 억류 인질 석방하라 지진에 기울어진 대만 호텔
사해 근처 사막에 있는 탄도미사일 잔해 개전 200일, 침묵시위
지구의 날 맞아 쓰레기 줍는 봉사자들 경찰과 충돌하는 볼리비아 교사 시위대
한국에 1-0으로 패한 일본 폭우 내린 중국 광둥성 교내에 시위 텐트 친 컬럼비아대학 학생들 황폐해진 칸 유니스
경향신문 회원을 위한 서비스입니다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 퀴즈
    풀기
  • 뉴스플리
  • 기사
    응원하기
  • 인스피아
    전문읽기
  • 회원
    혜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