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권은희 "대선영향 부정한 목적"…與 "제2 김대업사건"

송고시간2013-08-19 18:28

이 뉴스 공유하기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서울청 분석관들 "권은희 주장 동의못해…오차 없었다"댓글녀 "대북 심리전"…국정원 현직직원 '가림막' 증언

물 마시는 권은희 증인
물 마시는 권은희 증인

(서울=연합뉴스) 하사헌 기자 = 국가정보원 댓글의혹 사건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위 2차 청문회가 19일 오전 국회에서 열렸다. 증인으로 출석한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이 물을 마시고 있다. 2013.8.19
toadboy@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안용수 박경준 기자 = 국가정보원 댓글사건 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특위는 19일 국정원 전·현직 직원과 경찰관계자 등 26명을 상대로 2차 청문회를 실시했다.

이날 청문회는 국정원 대선개입 여부, 경찰의 은폐·축소수사 의혹을 규명하는데는 역부족이었으나 "경찰의 (중간) 수사결과 발표는 대선에 영향을 주려는 부정한 목적"이라는 주장이 나오는 등 파장이 일었다.

얼굴 가린 국정원 직원들
얼굴 가린 국정원 직원들

(서울=연합뉴스) 배정현 기자 = 국가정보원 댓글의혹 사건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위 2차 청문회가 19일 오후 국회에서 열렸다. 증인으로 나온 국정원 직원들이 얼굴을 가리고 있다. 2013.8.19
doobigi@yna.co.kr

새누리당은 댓글작업은 대북 심리전 활동의 일환이었다는 국정원의 주장을 '엄호'하면서 댓글 당사자인 국정원 여직원 김모씨의 오피스텔을 덮치는 과정에서 민주당의 인권유린 혐의, 국정원 전·현직 직원에 대한 매관매직 의혹을 파헤치는데 주력했다.

민주당은 여직원 김씨,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과 통화한 것으로 확인된 박원동 국정원 전 국익정보국장을 정조준하는 한편 '경찰 윗선 개입'을 주장한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의 추가 폭로를 고리로 경찰의 은폐·축소수사 의혹을 추궁했다.

국정원 여직원 김씨는 "(윗선으로부터) 선거개입 지시를 받은 적이 없다"면서 "댓글은 북한과 종북세력의 선전선동 대응 목적"이라고 주장했다. 민감한 질문에는 "말하기 곤란하다"고 답변을 피해갔다.

답변하는 댓글사건 당사자
답변하는 댓글사건 당사자

(서울=연합뉴스) 배정현 기자 = 국가정보원 댓글의혹 사건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위 2차 청문회가 19일 오후 국회에서 열렸다. 댓글사건 당사자인 국정원 직원 김모씨가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13.8.19
doobigi@yna.co.kr

권은희 전 과장은 "김용판 전 청장이 지난해 12월12일 직접 전화해 국정원 여직원 오피스텔 등에 대한 압수수색 신청을 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면서 김 전 청장이 지난 16일 자신에게 격려전화를 했다는 주장은 '거짓말'이라고 말했다.

권 전 과장은 대선 3일 전인 12월16일 밤 경찰의 중간 수사결과 발표에 대해서는 "대선에 영향 미치려는 부정한 목적이었음은 분명하다고 본다"면서 "절대 있어서는 안될 일이었다"고 말헀다.

그러나 권 전 과장이 중간 수사결과 발표를 '대선에 영향을 미치려는 부정한 목적'으로 언급한데 대해 서울지방경찰청 분석관들은 모두 "동의할 수 없다. 한 치의 오차도 없었다"고 반박했다.

이들은 서울 수서경찰서 수사팀이 제출한 검색어 축소 등과 관련, "단어(검색어)만 늘린다고 정확히 분석하는 것은 아니다. 아이디(ID)와 닉네임으로 분석하는 게 타당하다는 내부 의견이 있었다"고 축소 수사 의혹을 부인했다.

한편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은 권 전 과장에 대해 "증언을 들으니 민주당을 도울 목적으로 수사에 임했고, 적어도 현재 민주당을 돕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갖고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반발하면서 "이번 댓글사건은 민주당이 대선 승리를 위해 국정원 전·현직 직원을 매관매직해 일으킨 정치공작이며 제2의 김대업 사건"이라고 주장했다.

경찰의 중간수사결과 발표 하루 전인 12월15일 오후 김기용 당시 경찰청장이 서울지방경찰청 디지털증거분석실을 방문해 50만원이 든 봉투를 전달한 사실도 드러났다.

답변하는 댓글사건 당사자
답변하는 댓글사건 당사자

(서울=연합뉴스) 배정현 기자 = 국가정보원 댓글의혹 사건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위 2차 청문회가 19일 오후 국회에서 열렸다. 댓글사건 당사자인 국정원 직원 김모씨(왼쪽)가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13.8.19
doobigi@yna.co.kr

박원동 전 국정원 국익정보국장은 지난해 12월16일 오후 김용판 전 청장과 전화 통화한 사실만 인정했을 뿐 김 전 청장과의 추가 통화 여부 및 권영세 당시 새누리당 종합상황실장과의 통화 여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기억나지 않는다", "그 무렵 통화했는지 기억이 안 난다" 등의 답변으로 피해갔다.

국정원 심리전단 활동과 여직원 김씨에 대한 정보제공 대가로 민주당으로부터 자리보전을 약속받았다는 의혹을 받는 국정원 전·현직원 정기성, 김상욱 증인은 매관매직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이날 청문회는 댓글사건 당사자인 국정원 여직원 김씨, 직속상관이었던 최모씨, 민병주 전 심리전단 단장, 박원동 국정원 전 국익정보국장 4명에 대해서는 신분보호를 위해 증인석에 가림막이 설치된 상태에서 진행됐다.

lkw777@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