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GDP 대비 가계소득 비율 20년간 급락…하락폭 OECD 2위

입력
수정2016.03.27. 오전 10:52
기사원문
이율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소득 비율이 20년간 급격히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하락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2위를 차지할 정도로 가팔랐다.

27일 OECD가 최근 발간한 구조개혁 중간평가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GDP 대비 가계소득 비율은 1995년 69.6%에서 2014년 64.3%로 5.3%포인트 떨어졌다.

이 기간 한국의 1인당 GDP는 연평균 3.8% 증가한 데 비해 1인당 가계소득은 2.1% 늘어나는데 그친 게 영향을 미쳤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소득 비율 낙폭은 OECD에서 자료가 있는 30개 회원국 중 같은 기간 79.4%에서 73.6%로 5.8%포인트 떨어진 오스트리아에 이어 2번째였다.

이어 벨기에(-4.7%포인트), 노르웨이(-4.6%포인트), 이탈리아(-4.3%포인트), 헝가리(-3.6%포인트), 캐나다(-3.4%포인트) 순으로 하락폭이 컸다.

반면에, 슬로바키아(9.2%포인트)와 핀란드(5.3%포인트), 일본(3.2%포인트), 미국(3.1%포인트), 스웨덴(2.9%포인트) 등은 비율이 상승했다.

이에 따라 한국의 GDP 대비 가계소득 비율은 OECD 회원국 중 바닥권으로 추락했다.한국보다 낮은 국가는 노르웨이(59.4%), 아일랜드(62.2%), 체코(63.9%) 등 3곳밖에 없었다.

이번 분석은 국민계정에서 가계의 가처분보정소득(AHDI)을 추출해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GDP 대비 가계소득 비율이 하락한 것은 정부, 기업, 가계로 분배되는 몫 중 가계가 차지하는 몫이 줄어들었다는 의미로, 가계 대신 기업이 차지하는 몫이 늘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OECD는 분석했다.

가계소득은 노동소득과 자본소득, 정부이전소득 등으로 나뉘는데 한국의 GDP 대비 노동소득 비중은 1995년 52.7%에서 2014년 50.7%로 내려갔다.

GDP 대비 노동소득 비율 하락폭은 포르투갈(-6.5%포인트), 슬로베니아(-4.3%포인트), 일본(-4.0%포인트), 오스트리아(-3.5%포인트) 순으로 컸다.

OECD는 보고서에서 "대다수 국가에서 노동소득 분배율이 하락한 가운데 자본에서 가계부문으로의 소득 재분배율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는 기업부문의 이익 중 가계부문으로 재분배되지 않고 기업부문에 유보되는 비중이 상승했음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OECD는 또 "분석결과 GDP 대비 가계소득 비율 변동은 가처분소득 변동의 불평등과 약하지만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 비율이 하락한다면 가계부문의 소득분배는 악화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yulsid@yna.co.kr

▶ [핫클릭] 트럼프 "방위금 분담 안늘리면 주한미군 철수…핵무장 허용가능"

▶ [핫클릭] "성추행당했어" 아내 말에 격분한 남편 '살인미수'

▶[영상] '물고문' 安양 시신 암매장 현장검증 "기억이..."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