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 임금격차 심각·여성 의사결정 저조 … 성평등지수 중하위권
경기도가 성별 임금격차가 전국 16개 광역지자체중 10위권에 머물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심각한 성별 임금격차의 영향이 성 평등지수의 하락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도의 여성정책에 대한 대대적인 수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7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지난해 12월 발간한 '2017 지역별 성 평등 수준 분석 연구'에 따르면 도의 성 평등지수는 지난 2015~2016년 2년 연속 9위를 기록, 전국 16개 시·도(세종 제외) 중 중하위권에 속했다.

지난 2011년 경기도 성 평등지수는 1위를 기록한 이후 2012년과 2013년 각각 1위, 2위로 상위권에 머물고 있었다. 하지만 민선 6기 들어 2014년 5위로 떨어지더니 2015년에는 9위로 폭락했다.

성평등지수는 성 평등한 사회참여와 여성의 인권·복지, 성평등 의식·문화 등 3개 영역의 8개 분야, 23개 지표를 평가한다. 분야별로는 경제활동, 의사결정, 교육·직업훈련, 복지, 보건, 안전, 가족, 문화·정보 분야를 분석한다.

경기도의 성 평등지수 순위 하락에는 남녀 임금 격차와 강력범죄의 여성피해자 비율 등을 조사하는 사회안전 부진, 여성의 의사결정 분야 등에서 하위권을 기록한 것이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

여성의 경제활동분야는 2011년 66.5점에서 2016년 70.5점으로 5년여 만에 약간 상승했지만, 순위는 11위에서 10위로 한 단계 올라가는 데 그쳤다. 특히 경제활동 분야 중 성별 임금 격차지표는 5년째 10위권 밖을 맴돌면서 여성과 남성의 임금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도내 여성과 남성의 평균임금을 비교하면 남성은 100만원을 받을 때 여성은 59만1000원을 받고 있다. 이는 경력단절여성의 일자리 찾기를 비롯 여성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 문제 등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 것이 주요원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여성의 강력범죄 피해율과 사회안전도 인식을 지표로 하는 안전분야도 2011년과 2016년 모두 12위를 기록해 부진을 면치 못했다.

여성의 의사결정 분야에서는 2011년 37.5점으로 1위였지만 2016년 29.7점으로 8위를 기록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여성의 의사결정 분야에서 광역 및 기초의원의 남녀 성비율은 2011년 5위에서 2016년 4위로 한단계 상승했으나 5급 이상 공무원 성비율은 2011년 7위에서 2016년 9위로 두 단계나 추락해 경기도 공직사회내 여성에 대한 '유리천장'은 더욱 두꺼워졌다.

또한 기업의 여성 의사결정권자와 여성자영업 대표 등의 비율을 나타내는 관리자 비율 지표는 가장 크게 하락했다. 2011년 20.6점으로 4위였던 성비율은 2015년 8.0점으로 14위로 추락했다. 2016년에는 11.9점으로 소폭 회복했지만, 순위는 12위에 그쳤다.

주재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성인지데이터센터장은 "경기도의 경우 경제활동분야와 의사결정분야, 안전 분야 등에서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며 "여성의 경제활동 제고를 위한 정책과 경력단절 예방 정책, 일·가족 양립 정책 등에 대한 점검과 적극적 고용개선 조치, 사업체 관리, 지자체위원회 여성위원 비율 제고 방안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올해 여성 일자리 개선을 위한 사업비용이 늘어났고 지속적인 신규 사업 발굴 등을 통해 일자리 문제를 개선하겠다. 의사결정분야는 당장에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지만, 장기적인 관점으로 해결하겠다"며 "교육, 문화 등의 분야는 상위권으로 나타나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면 전체적인 성 평등지수도 나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김중래 기자 jlcomet@incheonilbo.com